'제주도 예멘 난민' 태그의 글 목록 개고기 역사 독립 연구소

개고기 역사 독립 연구소

'제주도 예멘 난민'에 해당되는 글 2건

  1. 71. 왜 예멘 후티 반군은 개를 때려죽일까?
  2. 70. 100만 마리 개를 학살할 예정인 예멘

71. 왜 예멘 후티 반군은 개를 때려죽일까?

국제

예멘에서 벌이는 광견병 예방 켐페인의 주요 활동은 개들을 무차별 학살하는 것이다. 두 달 간 11,000마리의 개를 때려죽인 사나 시를 보자. 

하필 아라비안 늑대 서식지에 위치한다. 아라비안 늑대는 아라비아 반도 중 예멘과 오만 등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이 아라비안 늑대가 예멘 개들과 비슷하게 생겼다. 


<아라비안 늑대의 서식지와 사나 시>

영국 등 유럽에서는 전부터 예멘을 광견병 발발 주의 지역으로 분류하고 사막을 여행할 때는 특히 더 주의할 것을 요구했다. 왜 사막이냐? 

아라비안 늑대가 주로 사막에 살기 때문이다. 외국에서는 예멘 광견병 발발 이유가 야생동물, 즉 사막에 사는 동물들이라고 했다. 개가 아니다. 


<전 세계 광견병 주요 원인, WTO>

사막 늑대(아라비인 늑대)가 도시로 와 야생 개로 사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이 경우 아라비안 늑대와 예멘 도시 개를 구분하지 못해 광견병에 걸린 개가 폭증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두 번 째 도시 개가 사막으로 가서 늑대화 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내전 이후 굶주린 개들이 야생화되어 사막으로 피난 갔다가 하필 광견병 걸린 늑대에게 물려 이 개 저 개 막 광견병이 옮았을 수 있다. 


<광견병에 걸린 개, 영국, 1872년>

이 두 가정 모두 가능성이 매우 낮다. 첫 째 야생성이 강한 늑대는 도시에 살지 않는다. 늑대와 개를 혼동할 수 없다. 내전으로 인간들이 떠난 도시를 늑대가 장악했다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예멘 광견병 발병 원인은 개가 아니라 늑대다. 두 번째는 아예 가능성이 없다. 광견병 걸린 개들 상태는 보통 이렇다. 그냥 둬도 죽는다. 

 

<예멘 사나 시 근처에 사는 아라비안 늑대> 

병든 도시 개가 어느날 갑자기 사막으로 이동해서 살아남을 가능성? 없다. 그러므로 예멘 정부(사실은 후티 반군) 주장대로 정말 예멘에서 광견병이 폭증했다면 아라비안 늑대가 원인이라고 본다.

정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예멘 광견병 발병 지역과 아라비안 늑대 서식 지역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면 예멘 정부(를 가장한 후티 반군)는 왜 뜬금없이 개를 때려죽이는 걸까? 두 가지 이유가 있다고 본다. 첫 째, 내부 통제. 도시 곳곳을 헤집고 다니며 개를 때려죽이는 것 자체가 공포심을 줄 수 있다. 

1950년대 중국을 장악한 중국공산당이 광견병을 예방한다는 명목으로 수 백만 개들을 때려죽인 것과 같은 이치다. 공포 퍼포먼스는 언제나 좋은 통치 수단이다. 마녀사냥을 한 유럽이 좋은 예다. 

<광견병 백신 50000개가 필요하다는 예멘 정부, 민트프레스, 2018년 3월 8일>

두 번째 경제 제재 해제 요구를 하기 위해서다. 예멘 정부(후티 반군)는 2019년에만 약 50000개의 광견병 백신이 긴급으로 필요하다고 했다. 

예멘은 GDP가 500불 수준인 아주 가난한 나라라는 사실과는 별개로 UN 경제 제재국이다. 예멘은 아직도 1990년 이란의 쿠웨이트 점령 이후 시작된 UN의 경제제재를 받고 있다. 사는 게 말이 아니다. 


<북한과 예멘이 불법 석유 거래와 무기 거래, 매일경제, 2018.04.12>

여기에 2015년 내전 이후 제재 하나가 더 추가되었다. 예멘 후티 반군에 대한 무기 제재가 그것이다. 예멘 사람들 중에서도 후티 반군은 더욱 힘들어질 수 밖에 없다. 

광견병 예방 명목으로 두 달 간 개 11,000마리를 때려죽인 사나 시는 후티 반군 지역이다. 즉, 예멘에서 광견병 예방 명목으로 개를 때려죽이는 사람들은? 후티 반군이다.  

<후티 반군에 대한 UN 무기 제재에 항의하는 사나 시, VOA 2015.4.15>

이 후티 반군을 도와준 게 북한이다. UN 제재로 무기를 살 수 없는 예멘 후티 반군은 북한제 미사일로 사우디를 공격했다. 왜 사우디를 공격했을까? 

예멘 정부군이 사우디와 손을 잡고 후티 반군을 공격했기 때문이다. 동학 반란이 일어나자 청나라 군대를 끌어들인 조선과 같은 거 같지만 질적으로 다르다. 


<세계 5대 종교 별 개고기 식용 현황>


예멘 정부와 사우디는 같은 이슬람 수니파다. 예벤 반란군은 이슬람 시아파다. 이슬람 내전은 결국 프랑스 구교, 신교도 전쟁과 같은 종교전쟁이다. 어차피 이슬람 교에서는 개를 싫어한다. 

이런 배경에서 예멘 후티 반군은 광견병 예방 명목으로 100만 예멘 개들을 때려죽이며 UN의 경제 제재 완화를 꾀하고 있는 것이다. 백신 줄 때까지 개들을 때려죽이겠다는 협박인가?   


<매해 55000명 정도가 광견병으로 사망한다는 보고>

광견병 예방이라는 인도적 차원에서 후티 반군에 대한 제재를 푸느냐 마느냐는 복잡한 국제 정세가 반영되는 문제니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겠다. 

그런데 일 년에 전 세계에서 개에게 물리거나 야생동물에 의해 광견병이 걸려 죽는 사람은 55000명에서 50000명 정도 수준이다. 





    



70. 100만 마리 개를 학살할 예정인 예멘

국제

작년 봄 건장한 500여 명의 예멘남자들이 관광비자를 받아 비행기를 타고 제주도로 와서 뜬금없이 난민신청을 하기 전까지 예멘이라는 나라가 있는 줄도 모른 사람들이 많았을 것이다.


<중국 일대일로 참여국 중 예멘, 조선일보, 2018년 4월 19일>


이슬람 수니파 국가인 예멘은 중국이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바브엘만데브 해협이 있는 나라다. 또 1950년대 중국공산당이 그렇게 한 것처럼 광견병을 예방한다는 명목으로 무차별적으로 개들을 학살하는 나라이기도 하다. 

 

<제주도 공항에서 난민 신청한 예멘 남성들, 제주신보, 2018년 6월 29일>

예멘 보건부 따르면 전후사정이 이렇다. 내전 발발 후 관리를 받지 못해(언제는 관리했나?) 굶주린 개들이 야생화되어 개떼를 지어 몰려다니면서 무차별적으로 여자와 아이들을 공격해서 광견병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내전 후 광견병 증가, 예멘 민트프레스, 2019년3월8일>

현재 예멘에는 약 100만 마리의 광견병에 걸린 개들이 있고 광견병 백신은 고작 8000개 뿐이라고 한다. 

사나 시의 경우 주민과 공무원이 나서 열심히 때려죽여 봐야 2달 동안 전체 70000 마리 중 고작 11,000마리 밖에 못 죽였다고 한다. 

여기서 드는 의문이 정말 100만 마리의 예멘 개들이 다 광견병에 걸렸으며 맞아 죽은 11000마리의 사나 시 개들이 다 광견병에 걸렸는가, 하는 점이다.


<2달 간 11000여 마리의 개를 죽였다는 예멘 민트프레스, 2019년3월8일>

보통 광견병에 걸린 개들은 상태가 이렇다. 비실비실 침을 흘리며 딱 봐도 아파보인다 .광견병에 걸리면 저렇게 빌빌 거리다 보통 1~3달 내에 죽는다. 


<광견병에 걸린 개, 영국, 1872년>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인간을 위협한다는 예멘 개들을 보자. 아주 건강해 보인다. 굶주린 개들이 인간에게 벗어나 무리 지어 생활하다 여자와 아이들을 공격한 건 사실일 수 있다. 그러나 그 개들 모두 광견병에 걸린 건 아니라는 얘기다.  

<광견들이 사람을 공격한다는 기사, 예멘 민트프레스, 2018년 3월 8일>

이런 의심을 하는 이유는 원래 예멘은 2015년 내전이 발생하기 이전부터 전통적인 광견병 발병 국가였기 때문이다. 예멘 광견병은 내전이 원인이 아니다. 


WTO(세계무역기구) 광견병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광견병 주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개에 의한 광견병 발병 국가 지도, WTO>

물리는 경우(주로 개)와 야생동물으로 인한 발병이다. 광견병의 99%가 물려서 발생한 광견병이다. 


<광견병 환자의 99%가 개에 물려 광견병에 걸린다는 WTO보고>


우리나라는 광견병 발병 국가로 분류되어 반려동물을 외국으로 데리고 나가려면 아주 까다로운 검역을 통과해야 한다

개에 의한 광견병은 없지만(과연?) 야생동물로 인한 광견병이 발생하는 국가이나 국가 통제는 가능한 나라다.  

<야생동물에 의한 광견병 WTO지도>

몸보신한다고 무차별적으로 잡아먹는 뱀, 고라니, 오소리, 너구리 등을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예멘은 개로 인한 광견병은 심각하다. 야생동물로 인한 광견병은 의심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다. 

<예멘 광견병 원인은 아라비안 늑대라는 연구>

그런데 다른 보고에 의하면 예멘 광견병 주요 원인은 사막 쥐, 여우, 낙타, 아라비안 늑대 등 야생동물이라고 한다. 누구 말이 맞는 걸까? 둘 다 맞을 수 있다고 본다. 

<예멘 지역에 사는 아라비안 울프>

나는 이 혼동이 아라비안 울프 서식 지역이 예멘과 일치하기 때문에 생겼을 수 있다고 본다. 아라비안 울프는 딱 굶주린 예멘 개처럼 생겼다. 



광견병 청정 국가, 예멘 광견병, 예멘 광견병 학살, 예멘 난민, 예멘 제주도, 예멘 중국, 제주도 예멘 난민

댓글을 달아 주세요

비밀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