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39. 아르미안의 네 딸들 속 '개 머리 새'

AnDant 2019. 2. 9. 12:00

여불위가 진시황 아버지라면 진시황도 흉노족일 가능성이 높다. 그럴 경우 문란한 성생활으로 악명 높은 진시황 엄마는 억울하다. 

왕성한 성생활을 통해 자손을 많이 남기는 것은 기마유목민의 미덕이었다. 그래서인지 진시황 시대 유물을 보면 티베트탄 마스티프 석상이 있다.

 <진 왕조 마스티프 석상>

사자개는 유목 왕조에게는 마치 옥새와도 같다 했다. 이런 개 석상이 중국 진왕조 유적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생뚱맞다.

 
진 왕조가 받은 석상이거나 과거 초나라 영토 안에 사자 개 석상을 가진 유목 왕족이 살았을 가능성이 있다. 어느 쪽이든 진시황은 천하를 통일하자마자 만리장성을 쌓아 흉노를 열 받게 했다.

 <만리장성>

흉노를 막기 위해 쌓은 만리장성이 흉노의 침입을 더 초래했다. 그 전까지는 겨울이 되어 천랑성(늑대의별 혹은 개의 별)이 뜨면 풀이 얼어 죽어 양 떼가 굶주린 흉노족이 남쪽으로 이동했다.

양을 몰고 이동하다 보니 거기가 중원이었는지 아니면 처음부터 중원을 노리고 양떼를 몰고 내려왔는지 모르지만 흉노는 계절에 따라 초지를 이동하듯 중국을 침입했다.

 

 <청동기 개 머리 새  추정 장식, 한,  기원전 206~서기 220년>

그런데 어느 날 진시황이 장성을 쌓아 길을 딱 막아버린 것이다. 흉노는 만리장성 건설 후 더 기를 쓰고 중국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농사를 짓지 못한 중국인은 개와 사람을 잡아먹었다. 빛의 종교 ‘개 새’와 신성한 개에 대해 백날 떠들어 봐야 중국인들에게 전혀 먹히지 않은 이유다.
  

<청동기 도끼에 새겨진 개, 세베로오세티아 공화국, 기원전 11세기~7세기>

중국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달랐다. 빛의 종교에서 ‘개머리를 한 새’ 는 조로아스터교에서는 신이나 신의 대리인, 혹은 왕을 상징한다. 당연히 영원불멸한 존재다.

‘개 새’ 양식이 나타난 지역은 조로아스터교를 믿었거나 영향을 받았다는 의미다. 그 중 페르시아와 아라비아 지역에서는 불새라는 개념으로 토착화된다.

<날개 달린 남자와 불새가 새겨진 점토 문양, 아케메니아 페르시아 추정, 영국박물관>

 

『아르미안의 네 딸들』이라는 순정 만화를 보면 페르시아 제국에서는 영원불멸의 신인 불새를 믿는다. 실제 페르시아 바빌론에서 발견된 점토를 보면 개 새와 피닉스가 만난다.

고대 페르시아와 아라비아 지역에서 믿은 불새는 몇 백 년 혹은 몇 천 년에 한 번씩 인간들 앞에 나타났다가 불꽃 속으로 사라졌다.

 

죽었다 부활하니 영원불멸한 신이다. 조로아스터교의 ‘개 머리를 한 새’는 중앙아시아의 북방기마 유목민에게도 아주 중요한 신이었다.

흑해 연안은 중앙아시아 북방 기마 유목민에게 매우 중요한 장소다. 늑대 머리를 한 인간을 그린 암석화도 이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기원전 11세기 개 문양 도끼 출토 지역과 조로아스터 출생 지역>

아마도 이 곳에서 기마 유목민의 모든 역사가 시작된 것 같다. 11세기 흑해 연안에서 출토된 청동기 유물에는 개가 새겨져 있다. 날개만 없다 뿐이지 개 머리 새와 같은 문양이다. 

개 머리를 한 새를 믿는 조로아스터교와 몽골의 전통 종교는 같았다. 같은 신을 믿었다. 조로아스터교의 최고 신인 아후라 마즈다(개 새)는 몽골의 최고 신인 호르마스트 텡게르다.

<불새가 그려진 직물 일부, 위그르 지역, 8~9세기>

조로아스터는 몽골의 서쪽 지역에서 태어났다. 선비족, 고구려, 돌궐, 위그르 등이 '개 새'(주작)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이유다.

한 집안 신이었다가 갈라져 저 쪽으로 가더니 세련된 ‘개 새’가 되어 돌아온 것이다. 돌궐과 위그르에서는 ‘개 새’를 왕의 깃발로 사용했다. 그게 늑대 머리 깃발이다.

<불새와 함께 하는 부처 입상, 북위, 471년>

왜 뜬금없이 늑대 머리를 깃발로 사용했을까? 깃발이 휘날리는 모습이 마치 날개 달린 개(늑대)같다. 투르크의 늑대 머리 깃발은 현재 터키로 이어지고 있다.

스키타이, 흉노, 돌궐, 위그르, 몽골 등이 기록을 남기지 않은데 비해 소아시아와 이란으로 진출한 기마 유목민은 조로아스터교와 ‘개 새’라는 형태로 만들어 유물을 남긴 것이다.

<개 머리 성인 크리스토퍼, 19세기>

로마 제국 시대 시리아에서 예수를 구해준 성 크리스터퍼가 왜 개 머리를 하고 있는지 이제 이해가 된다. 소아시아 지역 최고 토착 신인 ‘개 새’가 아기 예수를 구해줬다고 나름 풀어서 설명한 것이다.

‘개 새’로 표현되는 치열한 권력 투쟁도 시리아 바로 앞 바다에 있는 키푸로스 섬의 역사를 봐도 알 수 있다. 그리스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태어난 키푸로스는 현재 터키계와 그리스 계로 분단된 상태다.

<마스티프와 황소 청동기 조각, 키푸로스, 기원전 1340~1200년>

현대도 이렇게 피터지는데 고대에는 더했을 것이다. 지정학적으로 지중해 교역의 중심지인 만큼 키푸로스를 차지하려는 세력들이 많았다.

히타이트, 앗시리아, 이집트, 그리스, 로마 등 지중해 패권을 차지한 국가는 반드시 키푸로스를 차지했다. 마치 중앙아시아 비단길에 위치한 호탄과 쿠차 왕국처럼 말이다.